1월, 2019의 게시물 표시

산업용헴프 (industrial hemp, 대마)

이미지
헴프는 약 10,000전부터 재배되어 온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종이, 섬유, 의류, 생분해성 플라스틱, 바이오연료, 음식, 동물식량 등 여러가지 산업적 활용도를 갖고 있습니다. 이런 산업용 헴프와 마리화나 (대마초)를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둘다 Cannabis Sativa (삼) 계열의 식물은 맞습니다만, 산업용 헴프의 경우 CBD (cannabidiol)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대마초는 THC (tetrahydrocannabinol)의 함량이 높습니다. THC가 향정신성 물질인 것입니다. 최근 ('18.12월) 미국 트럼프정부에서 산업용 헴프 재배를 합법화시켰습니다. 이전까지는 수많은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정부의 엄격한 관리 아래, 아주 제한적으로 재배를 했었지만 이제는 미국 전역에서 아무나 재배가 가능해졌습니다. 농부들은 이제 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아 헴프 농사를 지을 수 있게 되었는데, 이 식물의 여러 이로운 특징들과 함께 생각해볼때 헴프의 시장의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전문가들이 예상할만 합니다. 헴프의 이로운 특징이라하면,  재배시 물을 따로 대기 위해 공사를 할 필요가 없고, 농약, 화학 비료, 유전자 조작 씨앗이 필요없습니다. 이것은 햄프를 재배한 땅도 건강하게 만드는 선순환을 가져옵니다. 농부들은 휴경시간 필요없이 헴프를 베어낸 후 바로 식용작물을 심을수 있지요. 같은 땅에서 먹는 작물과 팔아서 돈이 되는 작물을 함께 재배할 수 있습니다. 헴프 섬유는 흡수성, 통기성이 우수하고, anti-bacterial (항균성), anti-odor (항악취) 등의 특징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하고 UV 차단 뿐 아니라 원적외선도 방출한다고 하네요. 내구성이 언급되었는데,  헴프 원단은 지구에서 아마 가장 튼튼한 천연원단 중 하나이고, 의류로 만들어 입었을 때 시원하고 편안한 느낌을 줍니다. 이미 ...

(YouTube) 2017 world shearing and woolhandling championships (양털깎기 대회)

이미지
재밌는 영상을 찾았는데요. " 2017년 양털 깎기/다루기 대회 결승전 " 정도로 해석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뉴질랜드에서 열린 대회인데요, 결승전에는 총 6명의 남성이 올라갔습니다. 뉴질랜드인 2명, 스코틀랜드인 2명, 아일랜드인 2명이네요. 여느 운동 경기 못지않은 남성적이고 역동적인 모습을 볼 수가 있습니다. 물론 출전자들의 신체도 운동선수라고 해도 손색이 없습니다. 관중 숫자도 많아보이구요. 시장이 크다보니 이런 대회도 열리네요. 우리나라도 "닭튀기기 대회" 같은 것 있으면... 생활의 달인 분들 많이 출전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

(YouTube) Wool Yarn Production Process (모사 공정)

이미지
1) 2분15초 짜리 2) 9분50초 짜리 모사 (wool yarn)을 만드는 공정 (wool processing) 포스팅 :  https://cafe.naver.com/grubig/5

모사 (wool yarn) 만드는 공정 (wool processing)

이미지
지난번 포스팅에서 알아본 스테이플사 (staple yarn) 중 한가지가 모사/울실 (wool yarn) 입니다. 그 외, 면 (cotton), 마 (linen, flax, hemp, ramie 등) 등도 있지만요. 아래는 모사를 만드는 과정 및 각 과정의 간단 설명입니다. (기회가 되면, 면사/마사 등 다른 스테이플사의 공정도 추후 알아볼께요^^) 저도 최근에 알았지만, 모사도 종류에 따라서 위 과정의 전부 또는 일부를 거치게 됩니다. 그 큰 기준은 모사가 소모사 (worsted yarn) 또는 방모사 (woollen yarn 또는 woolen yarn) 냐.. 입니다. 섬유 무역업에 입문하여 업무를 하다보니 준소모사 (semi-worsted yarn)에 대한 의뢰/수요도 있더군요. 아래는 소모사, 준소모사, 방모사별 공정입니다. 이렇게 내용을 정리하고 보니, 소모사와 방모사의 차이, 특히 어떤 울로 시작하여 각각의 실이 무엇을 만드는데 쓰이는지도 한번 공부해보면 좋겠네요 모사 공정 내용을 담은 유투브 영상 2개 (2분 짜리, 9분 짜리) 참고해주세요^^ https://cafe.naver.com/grubig/4 ※ 혹, 위 내용 중 수정/추가하고자 하시는 내용있으면 댓글에 알려주세요. 적극 확인하여 조치하고자 합니다 ^^

스테이플사 (staple yarn) VS. 필라멘트사 (filament yarn)

이미지
원료 및 원사,  가능하면 원단, 패션에 이르는 내용을  공부하고, 정리하고, 간혹 나눌만한 정보를 찾아  함께 공유하고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첫 포스팅은 실을 구분하는 기본 방법 중 하나인 스테이플사 vs. 필라멘트사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스테이플사와 필라멘트사에 각각 사용되는 번수 시스템, 즉, 항중식과 항장식을 추후 더 알아봐야 겠네요 또한, Cotton, Wool 등 원료를 사용하여 방적하는 과정, wool의 경우, sorting → scouring  → carding  → gilling  → combing  → back-washing  → drawing  →  spinning까지의 과정도 자세히 봐야할 것 같네요 ※ 혹, 위 내용 중 수정/추가하고자 하시는 내용있으면 댓글에 알려주세요. 적극 확인하여 조치하고자 합니다 ^^